정부에서는 오늘(5월 11일) '3년 4개월 만에 국민께서 일상을 되찾으시게 돼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사실상 코로나 19 엔데믹을 선언했다. 코로나 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서 "오늘 중대본에서 코로나 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하고 6월부터 본격 적용한다"라고 보고했습니다. 중대본은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하고 또 입국 후 PCR검사권고를 해제한다고 하였으며 입원병실이 있는 병원 이외 모든 장소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기로 발표했습니다. 다음 달 6월부터는 동네의원과 약국등에서 마스크 착용의무가 사라지는 것이다.
윤대통령은 '기나긴 팬데믹을 지나 일상으로 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헌신과 노력이 있기 때문에 (엔데믹 선언이) 가능했다고 전하며 또 최전선에서 헌신해 주신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분들, 백신 치료제 연구개발 생산에 노력을 기울인 보건산업 종사자분들과 지자체 공무원, 보건당국에 감사한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정부는 위기경보 하향에 맞춰 확진자에게 7일간의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하기로 했는데, 당초 경리 의무는 코로나 19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낮아지는 일상회복 2단계 조정 때 해제할 예정이었으나, 조속한 일상 회복을 위해 일정을 앞당겼다고 전했습니다.
격리의무가 사라진 후 확진자가 몸이 아픈데도 억지로 출근하는 일이 없도록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을 위한 기관별 지침마련과 시행도 독려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격리의무 해제가 노동자들이 코로나 19에 감염됐어도 일터로 내몰리는 상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노동계의 현실이 중요하다, 그나마 법적 격리 때문에 사측에서 휴가를 줬는데 격리가 권고로 바뀌면 취약 노동자 계층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만 의료기관과 감염취약시설은 격리권고전환 이후 에도 취약집단을 보호하기 위한 격리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고 방역당국은 덧붙였는데요, 단 환자들이 밀집해 있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에서는 당분간 차용 의무를 유지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6월 이후에도 코로나 19 의료 대응체계와 치료비 지원은 유지하기로 하였으며, 백신 접종은 누구나 무료로 가능하며, 치료제는 무상공급되며 전체 입원환자에 대한 치료비도 계속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생활지원비와 유급휴가비등 일부 격리지원도 당분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PCR검사를 위한 선별진료소 운영은 유지하되, 현행 9곳인 임시 선별검사소 운영은 중단되고, 확진자 통계는 일일단위에서 주간단위로 전환되며, 정부 대응 체계도 범정부 중대본에서 보건복지부 중심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심으로 바뀐다.
이달 15일부터 고령자대상 코로나 19 백신접종이 실시된다. 고령자와 면역저하자를 대상으로 작년 동절기 접종 후 면역력저하 우려에 따른 것으로 2가 백신을 접종한 사람이 그대상이다. 65세 이상 고령자와 12세 이상 면역저하자이다.
예약과 당일 접종은 15일 시작되며 예약접종은 29일부터 시행한다. 예약은 코로나19 예약접종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는데 65세 이상은 의료진의 접종권고가 필요하다.
참고로 5월10일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는 2만 574명이며 7일 평균 1만 7천34명이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에 대한 모든 것: 원인, 증상, 치료와 함께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3.05.26 |
---|---|
핼리코박터균, 위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예방법 (0) | 2023.05.25 |
엠폭스(MPOX)원숭이두창에대해서 얼마나 알고계시나요 (0) | 2023.04.18 |
에어컨 청소 이젠 직접하자(스텐드) (0) | 2023.04.09 |
베이킹소다 어디에 사용될까요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