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에서 제주까지 배타고 간다고?
한강에서 김포를 거처인천 아라뱃길을 지나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서울시에서는 2026년 개항하는 서울항 조성에 앞서 한강에서 경인아라뱃길
운항에 필요한 기반시설확충 및 선박 운항을 위해 여의도 한강공원 내 신규
선착장을 조성한다고 9일 밝혔는데요, 위치는 마포대교 남단과 서울항 예정지(
현 아라호 선착장)사이 공간으로 규모는 연장 102m, 폭 32(45m)로, 천여 명이
탑승할 수 있는 1천 t급 이하선박 3척을 동시에 접안하는 구조이다.
시는 작년 10~12월 현대해양레저와 함께 한강~아라뱃길 노선에서 여의도 부근에서
회항하는 코스로 1천 t급 선박을 15화 시범 운항했다. 이용객은총 3천838명이었다.
여의도 선착장 완공과 동시에 서울시는 민간선사와 협력해 한강에서 경인아라뱃길의
정기 운항 노선을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안내 됐는데요 1일 1회 기준으로 연간
150회 정도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운항 기본 노선은 여의도 선착장~아라김포여객터미널~아래인천여객터미널이며, 향후
민간선사 및 인근 지자체와 협력하여 서해도서등 운항 노선을 점차적으로 확대해 나간다
는 방침이다
여의도 선착장이 조성되면 2024년부터는 한강에 1000t급 여객선등이 정박가능하다고
하며 서울시민과 서울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은 수상과 육상경로의 연계관광이
가능하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2026년 상방기 서울항이 조성되면 서해에서 출발한 5000t급 크루즈가 한강에 정박하여
서울명소방문 등 기항지 관광을 할 수 있으며, 한강에서 출발 군산항, 목포항등을 거처
제주까지 크루즈 여행을 가능하게 되어 많은 관광객의 수요가 충족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여의도 선착장을 이용하는 선박들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서해뱃길 운항에 따른 보완사항을 점검하고 해소해 나갈 예정이라 합니다.
인구 1000만의 큰 도시 한가운데 강폭 1km 정도 되는 엄청난 수량을 가진 한강에
외국인들은 감탄한다 여의도 선착장 조성을 시작으로 한강~경인아라뱃길의 정기
운항, 서울항 개항등의 계획을 구체화 나감과동시에 최대한 환경보호에 기존형태를
보존하는데 중점을 둔다는 게 앞으로의 오세훈시장의 포부이다.